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는 1922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나 캐나다로 이주한 수학자이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85년 스틸 상을 수상했으며, 1992년 은퇴 후 2014년에 사망했다. 그는 유한 반사군, 대수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업적을 남겼으며, 여러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수학자 - 조이아 차우셰스쿠
조이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독재자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딸로, 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루마니아 혁명 당시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루마니아의 수학자 - 프레다 미허일레스쿠
프레다 미허일레스쿠는 루마니아계 유대인 수학자 레오폴트가 제기한 레오폴트 추측을 연구한 것으로 알려진 수학자이다. - 루마니아에서 캐나다로 이민간 사람 - 칼린 로빈네스쿠
- 루마니아에서 캐나다로 이민간 사람 - 로베르토 듀테스코
로베르토 듀테스코는 사진, 영화, 출판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환경 보호, 인권,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예술가이다. - 몰도바 유대계 미국인 - 솔 펄머터
솔 펄머터는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를 이끌며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여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Ia형 초신성을 이용한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증거를 제시하고 암흑 에너지 존재를 시사하는 데 기여했다. - 몰도바 유대계 미국인 - 베라 루빈
베라 루빈은 은하 회전 속도 연구로 암흑 물질 존재의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고 천문학 분야 여성 역할 확대에 기여한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22년 5월 25일 |
출생지 | 루마니아 왕국 소로카 (오늘날의 몰도바) |
사망일 | 2014년 5월 25일 (92세) |
국적 | 루마니아, 캐나다, 미국 |
소속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주요 업적 | 대수적 K이론 |
출신 대학 | 토론토 대학교 |
지도 교수 | 리하르트 브라우어 |
2. 생애
로베르트 스테인베르크는 1948년 토론토 대학교에서 리하르트 브라우어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가 되었다. 1985년 스틸 상(Steele Prize영어)을 수상했으며, 1992년에 은퇴했다. 2014년 5월 25일에 사망하였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로베르트 스테인베르크는 1922년 5월 25일 당시 루마니아 왕국의 일부이던 소로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그가 태어난 직후 캐나다에 정착했다. 스테인베르크는 리처드 브라우어의 지도 아래 수학을 공부했으며, 1948년 토론토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학문적 경력
로베르트 스테인베르크는 1948년에 토론토 대학교에서 리하르트 브라우어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수학과에 합류하였다. 1985년에 스틸 상(Steele Prize영어)을 수상하였다. 1992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은퇴하였다.2. 3. 수상 경력 및 업적
스테인베르그는 1966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초청 강연자였으며, 1985년 스티일 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0년 제프리-윌리엄스 상을 수상했다. 2003년, ''대수학 저널(Journal of Algebra)''은 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의 80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호를 발간했다.2. 4. 말년
1992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은퇴하였고, 2014년 5월 25일에 사망하였다.3. 연구 업적
로베르트 스테인베르크는 갈루아 체 위의 전선형군의 표현, 유한 반사군, 일반적인 클레브슈-고르단 정리, 대수의 완전한 표현 집합, 벡터 집합의 닫힘 속성, 대수군, 유한 반사에 불변하는 미분 방정식 등을 연구하였다.[2] 1968년에는 슈발레 군(Chevalley groups)에 대한 강의를 출판했으며, 이는 2017년에 재출판되었다. 1974년에는 대수적 군에서의 켤레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1988년에는 로빈슨-쉔스테드 대응(Robinson–Schensted correspondence)의 한 예를 제시하였다.
그의 연구 논문들은 ''Collected Papers''(1997)로 출판되었다.[2]
3. 1. 주요 연구 분야
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는 군론, 특히 대수군과 리 군 이론에 핵심적인 공헌을 했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2]연도 | 연구 분야 |
---|---|
1951 | 갈루아 체 위의 전선형군의 표현에 대한 기하학적 접근 연구 |
1959 | 유한 반사군 연구 |
1961 | 일반적인 클레브슈-고르단 정리 |
1962 | 대수의 완전한 표현 집합, 벡터 집합의 닫힘 속성, 대수적 군의 생성원(Générateurs), 관계 및 덮개(revêtements) 연구 (프랑스어) |
1964 | 유한 반사에 불변하는 미분 방정식 |
1968 | 슈발레 군(Chevalley groups)에 대한 강의 (2017년에 재출판) |
1974 | 대수적 군에서의 켤레류 |
1988 | 로빈슨-쉔스테드 대응(Robinson–Schensted correspondence)의 한 예 |
그의 연구 논문들은 ''Collected Papers''(1997)로 출판되었다.
3. 2. 스테인베르크 표현
로베르트 스테인베르크는 1951년에 발표한 논문 〈갈루아 체 위의 전선형군의 표현에 대한 기하학적 접근〉에서 스테인베르크 표현을 정의하였다.[2]4.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In Memoriam: Robert Steinberg
https://newsroom.ucl[...]
UCLA Department of Mathematics
2022-03-12
[2]
간행물
Review: ''Conjugacy classes in algebraic groups'', by Robert Steinberg
https://www.am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